박찬우 매스어답션 인터뷰 테크42 뉴스레터
Tech Journalism by AI _VOL 287
2025.1.21
|
|
|
새로운 시대의 시작은 늘 도전과 기회가 공존한다. 박찬우 매스어답션 대표는 데이터 중심 시대에서 마케팅 업계가 직면한 혼란을 해결하고자 옴니채널 CRM 솔루션 ‘버클(Vircle)’을 개발했다. “CRM에 대한 개념이 아직 정립되지 않았거나 전문적인 팀이 없는 기업들이 많습니다. 특히 중소기업은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몰라 어려움을 겪고 있죠.” 박 대표는 복잡한 기술을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박 대표는 펜실베니아 주립대에서 경제학을 전공한 후, 딜로이트와 UBS증권에서 경제 데이터와 자본 흐름을 연구하며 글로벌 경험을 쌓았다. 이후 핀테크와 장례업계에서 창업과 성공적인 액시트를 경험하며 스타트업 생태계에 발을 들였다. “기술은 분명히 변화를 주도하지만, 이를 받아들이는 사용자의 관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경험은 현재 매스어답션과 버클의 기반이 되었다.
버클은 온·오프라인 데이터를 통합하며 고객 여정을 혁신적으로 설계한다. “자사몰 데이터를 넘어 나머지 70%의 고객 데이터를 디지털 보증서를 통해 수집하고 통합합니다. 이를 통해 고객의 온·오프라인 경험을 연결하며 CRM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합니다.” 특히 디지털 보증서는 오프라인 데이터 수집의 핵심 도구로 자리 잡고 있다. 룰루레몬의 오프라인 이벤트나 MLB KIDS의 플래그십 스토어 프로모션 등 성공 사례는 고객 경험 중심의 CRM 전략이 브랜드 충성도를 강화하는 데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
버클은 앞으로 AI 기반의 ‘버클 인사이트’를 통해 고객 여정을 자동 설계하는 기능을 선보일 예정이다. “더 많은 데이터를 활용해 고객 행동을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브랜드별 맞춤 전략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데이터는 단순히 수집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과 브랜드를 더 깊이 연결하는 데 쓰여야 합니다.”
버클의 이름은 ‘Virtuous Cycle(선순환)’에서 영감을 받았다. 박 대표는 “브랜드와 고객이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이를 통해 지속적인 경험과 성장을 이끌어낼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들고 싶습니다.”라며 비전을 밝혔다. 그의 철학은 단순히 기술 개발을 넘어, 사람과 기술, 그리고 브랜드와 고객을 연결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매스어답션의 여정은 단지 시작일 뿐, 그들의 다음 발걸음이 더 기대되는 이유다.
|
|
|
‘트럼프 2기 취임식’ 머스크부터 저커버그까지…빅테크 거물 총출동 일론 머스크, 팀 쿡, 마크 저커버그, 제프 베조스, 그리고 미국 내 사용금지 위기였던 틱톡의 CEO까지, 47대 미국 대통령 취임식에 빅테크 거물들이 대거 참석한다. 트럼프 1기에 마찰을 빚었던 테크 주요인사들도 기술업계에 대한 기조를 바꾼 트럼프 2기에 발맞춰 호의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
|
|
[트럼프2기출범]반도체 등 첨단 산업 공급망 영향 불가피…미·중 갈등 피해 우려도. 반도체 업계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확대에 따른 공급망 피해를 우려한다.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중국 대상 60% 관세 정책이 국내 반도체 기업에도 직접 타격을 줄수 있다.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 공장에서 낸드 플래시 메모리를, SK하이닉스는 우시 공장에서 D램을 생산 중인데, 한국수출입은행에 따르면, 그 비중은 약 40% 안팎을 차지한다. 중국 생산 비중이 적지 않아 트럼프 행정부에서 관세 확대 영향권에 들 수 있다는 의미다. ⤴️ |
|
|
금융당국, 업비트에 '일부 영업제한' 통지...신규 고객 자산 이동 막힌다. 금융당국이 국내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에 신규 고객의 가상자산 출금을 제한하는 제재 처분을 사전 통지했다. 신규 고객의 가상자산 외부 전송을 일정 기간 제한하는 것이다. 거래소 내 거래는 가능하지만, 다른 거래소나 외부 지갑으로의 자산 이동이 불가능해진다. 기존 고객의 경우 거래와 출금에 제한이 없어 정상적인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
|
|
‘머스크의 틱톡 인수’를 중국이 괜찮게 여기는 이유 미국인 3분의 1이 사용하는 소셜미디어 틱톡을 일론 머스크가 인수할 가능성이 있다는 외신의 보도가 나오고 있다. 중국정부와 바이트댄스, 머스크 모두가 틱톡이 머스크에게 매각되는 것이 최선의 이익이라고 생각할수 있는 논리적인 이유는 무엇일까. |
|
|
"싼 맛? 중국도 이젠 프리미엄"…위기의 삼성, '초개인화' AI폰 사활 건다 삼성전자가 프리미엄 스마트폰에서도 '넛크래커'(중간에 낀 상태) 신세에 처했다. 폴더블폰의 부진으로 세계 1위 자리를 애플에 내줄 위기인데, 중저가에 주력하던 중국 스마트폰마저 프리미엄에 전력투구해서다.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세계 1위 자리를 위협받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19%)은 애플(18%)을 제치고 부동의 1위를 지켰다. 그러나 같은 날 나온 IDC 조사에선 애플이 근소한 차이로 시장점유율 1위에 올랐다. 사실상 삼성과 애플이 초접전을 벌이고 있는 셈이다. ⤴️ |
|
|
"AI 보안, 내일 아닌 오늘의 문제...96% 기업이 AI 도입" “예전에는 금융 기관과 중요 인프라를 대상으로 사이버 공격이 이뤄진다는 인식이 일반적이었지만, 요즘에는 대학을 비롯해 보건, 통신 등 기술이 적용되는 모든 분야가 타겟이 되고 있다”며 각 기업들이 마주한 사이버 보안 관련 쟁점을 짚기도 했다. 이어 2024년을 ‘메가 브리치(Mega breach, 대량 침해)의 해’라고 규정하며 헬스케어부터 시작해 자동차, 리테일 분야 등에서 짧은 시간 내에 광범위하게 발생한 여러가지 침해 사례를 언급하는 한편, 팔로알토 네트웍스의 대응 역량을 소개하기도 했다. |
|
|
‘러시아의 공포’···세계가 주목한 우크라이나 드론 이야기 지난 7~10일 미국 라스베이거스가전쇼(CES2025)에 우크라이나는 특별 전시관에 최첨단 드론 기술을 선보이며 큰 반향을 일으켰다. 행사에서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와의 실전에 사용중인 슈라이크(Shrike), 뱀파이어(Vampire)를 포함한 다양한 드론을 선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규정에 따라 이러한 이중 용도 제품의 판매는 금지돼 있지만, 이들의 CES 참가 초점은 우크라이나의 독창성과 탄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도 읽힌다. |
|
|
"페스티벌부터 AI까지"...2025년 소비 키워드 'R.E.V.I.V.E'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는 'R.E.V.I.V.E'의 세부 키워드로 페스티벌 코어(Redefine Festivities), 셀프 디깅(Exploring Identity), AI 네이티브(Virtual Companions), 콘텐츠 커머스(Integrated Contents Commerce), 다정력(Value of Tenderness), 기후 이코노미(Environment First)를 선정했다. 올해 불확실한 일상 속에서도 새로운 출발을 모색하고 삶의 의미와 활력을 되찾으려는 소비자들의 움직임이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했다. |
|
|
곧 실직할 ‘메타 팩트체커들’ 맹렬한 ‘산불 음모론’에 맞서다. 메타가 그동안 운영해 왔던 팩트체크 기능을 없애기로 결정하면서, 기업의 이러한 결정이 소셜 플랫폼에서 소방서를 해체하는 것과 같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현재 곧 실직할 메타의 팩트체커들은 온라인에서 타오르는 캘리포니아 산불 음모론을 진압하기 위한 싸움을 진행중이다. |
|
|
"오픈AI, 슈퍼 에이전트 개발 임박...박사급 AI 시대 오나" 오픈AI가 박사급 수준의 복잡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슈퍼 에이전트' AI를 곧 공개할 것이라는 소문이다. 오픈AI의 샘 알트만 CEO는 1월 30일 워싱턴에서 미 정부 관계자들과 비공개 브리핑을 가질 예정이다. 메타의 마크 저커버그는 2025년까지 중급 엔지니어 수준의 AI가 코드를 작성할 것이라 예측했으며, 미 정부와 주요 AI 기업 관계자들은 최근 AI 기업들이 개발 목표를 초과 달성하고 있다고 전했다. |
|
|
인스타그램, 동영상 편집 앱 'Edits' 출시 예고…CapCut과 경쟁 본격화 인스타그램이 동영상 편집을 위한 새로운 무료 앱 'Edits'를 출시할 예정이다. 이 앱은 휴대폰으로 동영상을 편집하는 사용자들에게 고품질 녹화, 트렌딩 오디오, Reels 성과 분석, 영감 탭 등 다양한 창의적 도구를 제공한다. Edits는 틱톡의 자매 앱 CapCut과 유사한 점이 많지만, 인스타그램 대표 애덤 모세리(Adam Mosseri)는 "Edits는 일반 사용자보다는 크리에이터를 위한 앱"이라며 차별화를 강조했다. 특히 Edits는 AI 기반 동영상 편집 도구와 새로운 성과 분석 기능을 제공하며, 내보낸 동영상에 워터마크가 추가되지 않는 점이 특징이다. 현재 Edits는 iOS 사용자를 대상으로 App Store에서 사전 주문이 가능하며, 안드로이드 버전도 곧 출시될 예정이다. |
|
|
"독재 NO" 마스토돈, 머스크·저커버그와 다른길 택했다 분산형 소셜네트워크 마스토돈이 소유권을 새로운 비영리 단체로 이전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메타의 마크 저커버그나 X의 일론 머스크와 같은 소셜미디어 CEO들의 권력 집중과는 대조적인 행보다. 2016년 마스토돈을 설립한 유젠 로치코는 제품 전략에 집중하는 새로운 역할을 맡게 되며, 소유권은 유럽에 기반을 둔 비영리 단체로 이전될 예정이다. 매스토돈은 광고, 데이터 악용, 기업 독점 없는 진정한 온라인 커뮤니티 구축이라는 핵심 미션을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
|
|
닌텐도 차세대 게임기 첫 공개...자석 부착 조이콘·새 마리오카트 탑재 닌텐도가 차세대 게임기 '닌텐도 스위치 2' 첫 공개 영상을 통해 2025년 출시 계획을 발표했다. 기존 스위치보다 크기가 커진 새 모델은 조이콘이 자석 방식으로 부착되며, 홈 버튼 아래 새로운 버튼이 추가되었다. USB-C 포트와 3.5mm 헤드폰 잭이 상단에 배치되었고, U자형 킥스탠드와 곡선형 도크 디자인이 적용되었다. 새로운 '마리오 카트' 게임이 유일하게 공개되었으며, 기존 스위치 게임과의 호환성도 지원된다. 닌텐도는 2025년 4월 2일 스위치 2 전용 다이렉트를 통해 추가 정보를 공개할 예정이다. 전 세계에서 1억 4,604만대가 판매된 초대 스위치의 성공을 이어갈 수 있을지 주목된다. |
|
|
마이크로소프트, AI 기반 윈도우 검색 기능 테스트 시작 마이크로소프트가 윈도우 11 개발자 채널 인사이더를 대상으로 AI 기반 윈도우 검색 기능 테스트를 시작했다. 이 새로운 기능은 시맨틱 인덱싱을 활용해 사용자가 일상적인 언어로 로컬 파일을 검색할 수 있게 해준다. AI 검색 기능은 설정, 파일 탐색기, 작업 표시줄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 가능하며, 인터넷 연결 없이도 작동한다. 현재는 윈도우 설정과 JPEG, PNG, PDF, TXT, XLS 등의 파일 형식에 한정되어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하려면 코파일럿 플러스 PC가 필요하며, 초기에는 스냅드래곤 기반 PC에서 먼저 제공될 예정이다. |
|
|
트럼프 취임식 날 비트코인 109,000달러 신고가 기록 후 하락세 전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이 열린 월요일, 비트코인이 새로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가 하락세로 돌아섰다. 코인메트릭스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109,350.72달러까지 치솟았다가 2% 이상 하락한 103,558.38달러(약 1억 5,700만 원)에 거래를 마쳤다. 암호화폐 업계는 트럼프 행정부가 더 우호적인 규제 환경을 조성할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들떠 있다. 주목할 만한 점은 트럼프 부부가 각각 밈 코인을 출시했다는 것이다. '공식 트럼프' 코인은 100억 달러 이상의 시가총액을 기록했으며, 멜라니아 트럼프의 코인도 큰 거래량을 보였다. |
|
|
"마케팅 업계, 여전히 AI 단편적 활용에 그쳐" 미디오션의 연구에 따르면 마케팅 업계는 여전히 AI의 효과적인 비즈니스 통합 방안을 모색 중이다. 2024년 11월 약 700명의 마케팅·광고 전문가 설문 결과, AI는 주로 데이터 분석(47%), 시장조사(38%), 카피라이팅(32%), 이미지 생성(22%) 등 단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매디슨앤월의 브라이언 위저 CEO는 마케터들이 단기 성과보다 통합적 AI 전략에 집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조사 결과 쿠키리스 미래에 대한 우려는 감소했으나(39%→31%), 디지털 미디어는 여전히 광고 예산의 주축을 이루며 소셜미디어(68%), 디지털 디스플레이/비디오(67%), CTV(55%) 등의 투자가 증가할 전망이다. |
|
|
챗GPT '태스크' 기능 출시...매일 날씨부터 여권만료까지 알려준다 오픈AI가 챗GPT에서 미래의 작업과 리마인더를 예약할 수 있는 '태스크(Tasks)' 베타 기능을 출시했다. 이 기능은 챗GPT Plus, Team, Pro 구독자들에게 우선 제공되며, 월 구독료는 24,800원($20)과 248,000원($200) 두 가지다. 사용자는 매일 아침 날씨 보고서나 여권 만료 알림 등 원하는 작업을 챗GPT에게 지정된 시간에 수행하도록 예약할 수 있다. 최대 10개의 작업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으며, 웹사이트와 데스크톱, 모바일에서 작업 완료 알림을 받을 수 있다. |
|
|
어도비, 포토샵 '실시간 공동편집' 기능 베타 테스트 어도비가 포토샵에 실시간 공동 편집 기능을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이 새로운 기능은 여러 사용자가 서로 다른 컴퓨터에서 동시에 같은 포토샵 파일을 편집할 수 있게 해준다. '공유' 버튼을 클릭하고 공동 작업자를 초대하는 방식으로 간단히 작동하며, 현재는 비공개 베타 테스트 단계에 있다. 이 기능은 대규모 디자인 팀의 실시간 협업과 교육 목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
|
🔬 리플루언서-분야별 전문가들의 다양한 관점을 다룹니다. |
|
|
일본 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베이스 캠프] : X(트위터) 마케팅 활용법 일본에서 높은 인지도를 가진 X(트위터)는 제품과 사용자의 거리를 가깝게 만들고 신뢰 관계를 구축하기 위한 중요한 도구로 사용됩니다. X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일본 사용자들에 의해 여러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개인감정을 표현하거나, 관심 있는 디자인이나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소비하는 장소로 활용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 관계의 초기 단계가 형성되고, 나아가 장기적인 팬층 형성으로 이어지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
|
|
- 🎉 테크42 블루스카이 채널을 오픈했습니다. [팔로우]
- 테크42 유튜브채널 [42TV]에서 인터뷰와 포럼 등을 동영상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42TV 구독]
- 뉴스레터는 매주 화요일 오전 발송합니다. [구독]
- 테크42 지난 뉴스레터 [보기]
|
|
|
테크42는 AI 기반 테크 저널리즘을 추구하는 디지털&비즈니스 미디어입니다. |
|
|
|
|